월급 들어올 때마다 드는 생각.
“이게 맞나?” “다들 이 정도 받나?”
근데 말 못하죠. 괜히 비교하는 거 같고, 찌질해 보일까 봐.
근데 고용노동부가 공식 발표했어요.
2025년 대한민국 평균 월급 397만원.
…그리고 그걸 본 순간, 이상하게 마음이 더 복잡해졌습니다.
나는 평균보다 적게 받는 건가?
아니, 이게 많은 건가?
그보다 진짜 다들 저만큼 받는 거 맞아?
이번 글에서 확실히 정리해봤습니다.
실제 업종별 순위, 정규직·비정규직 차이,
그리고 진짜 심각한 고용시장 분위기까지.
대한민국 평균 월급? 생각보다 애매합니다
- 397만 1,000원 (2025년 4월 기준)
- 실근로시간: 165.5시간
- 물가 반영한 실질임금: 341만 2,000원
이게 “평균”이라고요.
가장 많이 버는 업종 vs 가장 적은 업종
업종평균 월급
금융·보험업 | 744만 원 |
전기·가스업 | 589만 원 |
숙박·음식점업 | 218만 원 |
↘ 같은 나라, 같은 직장인인데
무려 3배 차이 납니다.
정규직은 오르고, 비정규직은… 내려갔어요
구분월급변화
정규직 | 421만 원 | ▲ 2.8% 증가 |
임시·일용직 | 178만 원 | ▼ 3.1% 감소 |
왜 줄었냐고요?
건설업 일자리가 통째로 빠졌거든요.
1년 넘게 줄기만 했고, 반등 신호도 없답니다.
제조업도 못 믿을 상황
- 20개월 연속 종사자 감소
- 산업단지 기반 대기업들도 인원 감축
- “중국·베트남이랑 가격 싸움 못 이겨요”
→ 이직 준비 중인 현직자들도 많은 상황
이직? 재취업? 그마저도 더 어려워졌습니다
- 입직자 수 6.6% 감소
- 기업 채용계획도 5만 명 축소
📉 일자리 줄고,
📉 조건 깐깐해지고,
📉 중장년은 경쟁도 더 치열
✅ 결론: 내 월급, 남들보다 적은 게 중요한 게 아니라…
그 월급이 언제까지 유지될 수 있냐가 더 중요한 시대입니다.
- 업종이 안정적인가?
- 정규직이긴 한가?
- 이직 타이밍이 진짜 지금 맞는가?
하나라도 “글쎄…” 싶다면
지금부터는 무조건 정보 선점해야 할 때입니다.
'금융,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빚투 탕감 구제 코인 채무 구제 ? 모르면 손해? (0) | 2022.07.21 |
---|---|
미국 금리 인상과 양적 긴축 (0) | 2022.06.22 |
댓글